직장인코너/Excel

[엑셀] 엑셀 내림 함수 INT와 TRUNC

점주 2024. 8. 6. 01:44
728x90
반응형

 
 

엑셀 내림함수

 
 
오늘은 지난 글에 이어 INT함수와 TRUNC함수에 대해 알아보고 ROUND와 비교해보려 한다.
 
지난 글은 아래 링크를 참고↓
 

[엑셀] 엑셀 반올림 내림 올림 함수 ROUND수식 정리-1

오늘은 엑셀 함수 중 올림, 내림, 반올림과 관련된 ROUND함수들을 정리해보려 한다. (뜬금없을 수도 있는데, 엑셀 함수 검색하다가 연관 검색어에 나와서 해보기로 했다.)  함수 종류 관련 ROUND

10000-ddang.tistory.com

 


 
 

INT함수와 TRUNC함수
INT :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합니다.
TRUNC : 지정한 자릿수만을 소수점 아래에 남기고 나머지 자리를 버립니다.

 
각 함수에 대해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기본적으로는 둘 다 내림이고, 차이가 있다면 INT함수는 정수부분만을 표현하고, TRUNC는 자릿수 지정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그리고 ROUND함수 중에도 ROUNDDOWN함수가 동일하게 내림 함수이다.

ROUNDDOWN : 지정한 자릿수에서 내림

 
ROUNDDOWN은 자릿수 지정이 가능하기 때문에 TRUNC와 맥락을 같이한다고 보면 된다.
 
함수별로 자세히 보자.
 
 

ROUNDDOWN함수

 
 

 
ROUNDDOWN함수는 원하는 자릿수까지 내림하여 표현하는 함수로, 2개의 인수를 사용하고 각 인수는 입력값과 소수점 아래 자릿수를 의미한다.
 
소수점 아래 자릿수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설명했듯 소수점 아래 첫 번째 자리를 1, 두번째 자리를 2 와 같은 식으로 입력한다. 만약에 소수점 첫번째 자릿수까지 표현한다면 1을 입력하면 된다.

TRUNC함수

 

TRUNC함수도 ROUNDDOWN과 동일하게 원하는 자릿수까지 버림하여 표현한다.
 
 

INT함수

 

 
INT함수는 정수부분만을 내림하여 표현한다. 
 
 


 

비교하기

 
그러면 결괏값은 어떻게 나오는지 한번 비교해 보자.
 
정수부분만을 표현하는 INT와 비교하기 쉽도록 자릿수는 1을 입력하여 모든 함수에서 정수부분만 나오도록 했다.

 
 
양수의 입력값인 12.523에 대해서는 모든 함수가 12로 내려서 출력되었다.
다만 ②음수의 입력값인 -12.523에 대해서는 ROUNDDOWN과 TRUNC는 -12, INT는 -13으로 출력되었다.
 
왜 이런 차이가 있을까?
 
일단 INT함수의 개념은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합니다." 인데, 이해하기 어렵다.
(아마도 번역 문제 생각된다.)
 
여러 숫자를 입력하면서 결론을 내리면, INT함수는 "내림했을 때 가장 가까운 정수를 표현"한다고 이해하면 쉬울 것 같다.
 


 

결론

 
위에서 ROUNDDOWN함수와 TRUNC함수, INT함수에 대해 알아보았다.
 
결국 ①ROUNDDOWN함수과 TRUNC함수는 음수와 양수에서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고, INT함수의 경우 음수값을 이용할 경우 다른 내림함수들과는 다른 값이 출력된다는 점을 유의하면 되겠다.
 
두서없이 포스팅하다 보니 정리가 잘 안 된 것 같지만, 이번 내용이 유익하게 다가왔으면 좋겠다.
 
그럼 이만.

반응형